무한 스크롤의 필요성?

⏤무한 스크롤의 필요성? 무한 스크롤은 소셜 미디어 피드에서 많이 사용된다.TikTok에서는 스크롤로 사용자가 중간에 쉴 수 있는지점이 없다. TikTok이 과연 사용자가 앱을이탈하기를 원할까? 애초부터 기획 의도가 앱 사용시간을 제한했다면 사용자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얼마 전까지 소셜 미디어 피드는 "끝"이라는게 존재했다. Facebook, Instagram의 피드는 스크롤하면시간순으로 친구의 업데이트를 최신순으로 확인한 후다음 액션으로 이동 가능했다.하지만 지금, 앱들은 무한 스크롤이라는 기능으로"끝"이라는게 없다. 친구의 업데이트가 뜨고, 그 밑에는알고리즘이 결정한 콘텐츠가 있으며, 또 그 밑에는 이전게시물이 뿌려져 페이지가 쉴 틈 없이 계속된다. ⏤무한 스크롤에 대한 모든 것 ∙ 페이지네이션 VS 무한스크롤무한 스크롤이라는 정의는 2006년 Humanized라는사용자 인터페이스 회사 팟캐스트인 "Your UndividedAttention"의 진행자 Aza Raskin이 처음 사용했다.목적은 익숙했던 페이지네이션의 대안을 만드는 것이었고,당시 인터페이스 콘텐츠는 페이지별로 나뉘고 하단의페이지네이션을 통해 원하는 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었다.아래 쇼핑몰 사이트 예제에서 당시의 페이지네이션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다. An example of pagination on Modcloth.com 페이지네이션의 단점은 사용자가 페이지 버튼을 하나씩클릭해야 한다는 점이다. 확실히 클릭보다는 스크롤이더 쉽고 콘텐츠 로드 대기도 없다. 모바일과 터치스크린기반은 무한 스크롤에서 더 잘 작동한다.사용자는 자신이 12페이지에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순간자신이 페이지를 넘기는 데 시간을 소비한 것을 인식하게되는 것이다. Nielsen Norman Group은 "무한 스크롤은 비용을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참여를 높인다"고 했다.무한 스크롤은 페이지가 끝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를이탈시키지 않으면서 더 많은 콘텐츠를 제공한다. ∙ 무한스크롤의 장점- 매끄럽고 지속적인 콘텐츠 피드의 중단 최소화 = 사용자 이탈률 감소- 모바일 최적화- 비용 최소화- 사용자 참여 증가 이는 사용자를 해당 앱에서 오래 머물도록 하고 사용자로하여금 앱 내에서 소비를 하도록 유도한다.무한 스크롤의 부정적인 요소도 많은데, 먼저 기술적인단점인 한 예로 검색 Google 검색 센터 엔진 전문가에따르면 "크롤러는 더 많은 항목을 로드하기 위해 스크롤또는 버튼 클릭과 같은 동작을 언제나 할 수 없으므로피드 또는 갤러리의 모든 항목에 항상 접속하지 않는다.크롤러가 콘텐츠에 접속할 수 없다면 검색 결과에표시되지 않는다." 페이지를 검색 엔진에 인덱싱하는크롤러 또는 스파이더라고 하는 봇은 무한히 스크롤할수 없으므로 이러한 페이지의 콘텐츠 기능 중 "일부만"긁어모은 것일 수 있다.결과론적으로 해당 데이터는 정확하지 않고, 적절히"검색하기 쉬운" 무한 스크롤 페이지가 되는 것이다. ∙ 무한스크롤의 단점- SEO에 좋지 않음- 콘텐츠 정제의 어려움- 페이지 로드 증가와 접근성의 문제- 불완전한 경험 사용자의 경우 페이지가 없는 피드에서 이전 콘텐츠로다시 되돌아 가거나 되찾는 것은 어렵다.우리는 모두 특정 게시물을 찾으려고 위로 스크롤하지만북마크 또는 검색하지 않으면 다시 찾을 방법이 없다.영구 스크롤의 기술적 장단점을 인정했으므로이제 사회적 영향을 고려해 보자.Aza Raskin는 가상의 프랑켄슈타인 박사와 마찬가지로자신의 창작물을 후회하며 2019년 트윗에서 다음과같이 말했다. "무한 스크롤에서 얻은 교훈 중 하나는 사용자 경험 편의성을위해 무언가를 최적화 한다는 것이 사용자와 인류에게 최선은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트위터의 해시태그 #SocialMediaAddiction에대한 답장이었다. Raskin은 무한 스크롤로 인간의 삶에서200,000시간이라는 시간이 낭비되고 있다고 한다.무한 스크롤 유무와 상관없이 소셜 미디어는 기본적으로중독성 있도록 설계되었다. 모든 사용자는 심리학자B.F. Skinner와 그의 "Skinner Box"에 대해 알아야 한다.그들은 이 상자에 넣은 쥐의 행동을 연구했으며 Skinner가그들의 행동에서 얻은 결과는 이후 수십 년 동안 전 세계비즈니스 관행에 적용되었다. A Skinner Box, also known as a “operant conditioning chamber.” I don’t know which sounds scarier. Image from — https://practicalpie.com/skinners-box-experiment/ 이 실험은 특정 행동을 장려 또는 억제하기 위해 보상과처벌을 사용하는 실험이었다. 쥐는 레버를 눌렀을 때보상이나 충격을 받았고, 보상을 주면 레버를 누를가능성이 높았고 충격을 주면 레버를 덜 눌렀다.너무도 당연하게 들리겠지만 스키너의 연구는 쥐와사람의 현대적 행동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되었다.소셜 미디어는 옳은 행동을 위해 긍정적인 결과를 제공한Skinner의 실험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쥐가 레버를눌렀더니 대접을 받는다. 누르기가 항상 대접을 받는 것은아니지만 가끔은 대접을 받기도 한다. 그래서 그들은 계속그 레버를 찾는다.소셜 미디어와의 유사점은 명백하게 있다.피드를 스크롤하여 관심을 끄는 만족스러운 게시물을 찾고모든 게시물이 흥미로운 것은 아니지만 우리는 도파민을찾아 스크롤을 멈추지 않는다. ⏤스크롤을 멈출 수 없는 이유?무한 스크롤 피드는 무한 콘텐츠를 로드하기 때문에분명히 많은 데이터가 필요함에도 우리는 페이지가 전혀로드되지 않는다고 느낀다.무한 스크롤은 사용자에게 휴대폰을 원없이 스크롤 하도록하는 도파민을 발생시킨다. 심지어 무한한 피드는 우리의관심사, 취향에 맞도록 개인 맞춤화 되고 더 진화한다. ⏤중독과 불안소셜 미디어는 도박과 비슷하고 이것은 Google의전 디자인 윤리학자이자 Tristan Harris가 연구한내용이다. 예측할 수 없는 보상은 우리로 하여금 계속하도록 하고 그것은 우리 뇌의 구조를 변경한다.노르웨이에서도 이와 같은 연구는 소셜 미디어가중독성이 있을 뿐 아니라 불안 및 우울증과도 관련이있다는 것을 발견했다.우리가 보는 24시간 뉴스 내용은 언제나 유쾌하지 않다.사용자가 한 번에 몇 시간 동안 스크롤하는 콘텐츠에는 산불,총격 사건, 범죄 및 불행한 비극에 대한 뉴스가 포함된다.이러한 이미지를 뇌에 항상 노출시키는 것은정신 건강에 좋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부정적인 피드는더 많은 우울한 콘텐츠를 불러오는 알고리즘에 의해더욱 심해진다. ⏤비즈니스에는 Good, 휴먼에게는 Bad디자이너로서 우리는 디자인이 수익뿐 아니라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려해야 한다.우리가 이룰 수 있다고 믿는 이상적인 세상에서첫 번째 책임은 이익보다는 인간에 대한 것이어야 한다.우리는 수익성 있는 것, 즉 사용자가 계속 스크롤하도록하는 것과 윤리 사이의 경계에 있다. - 무한 스크롤링 소셜 미디어 피드에 소비된 시간은 사용자에게 심리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모든 사람이 이것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무한 스크롤로 인해 비정상적인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남용을 방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스크롤을 멈추는 방법모든 연구와 증거는 무한 스크롤 피드가 건강한 방법이아니라는 것을 증명한다. 어떻게 스크롤을 멈출 수 있을까?영구 스크롤 문제에 대한 몇 가지 UX 솔루션이 있다. ∙ 더보기 [Load More] 버튼연속으로 로딩되는 콘텐츠 대신 [더보기] 버튼을 삽입하여페이지를 제거하는 동시 일종의 페이지네이션을 하는한 가지 방법이다. 이를 활용하는 것은 기술성으로도 더 긍정적이다. 비용은 낮추고 버튼 하나에 불과하지만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유도한다. ∙ 끝에 도달했다는 문구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사용자가 모든 콘텐츠를 스크롤하면페이지 하단에 끝났다는 메세지를 표시한다. 이는 사용자가사이트의 다른 부분을 확인하거나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

LOG IN 로그인
  • HOME
    • ABOUT
      • CLIENT
        • INFORMATION

          • HOME
            • ABOUT
              • CLIENT
                • INFORMATION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 HOME
                    • ABOUT
                      • CLIENT
                        • INFORMATION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이미솔 디자인 | 대표: 이미솔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이미솔 | 전화: 019-3356-8711 | 이메일: meesol486@gmail.com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서로 397 | 사업자등록번호: 147-05-01356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